임플란트지지 보철물을 위한 진단 및 치료계획(1)

1. 서론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부터 Blade implant인 Linkor blade implant, Shape Memory Blade(Japan) implant가 시술되었으며,1980년대 중반에 골유착성 임플란트는 Integral(Calcitek, USA), IMZ(Ger many), Corevent(USA), ITI(Switzerland) 등 이 이용되기 시작하였고,1993년 Brenema rk(Sweden) implant가 정식 수입이 되어 국내에서 시술이 가능하게 되었다(그림 1).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 과정과 관련된 임상술식은 여러 단계에 걸쳐 다양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 임플란트 술식이 보편화되고 여러 개념들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안전한 시술과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standard protocol을 기본으로 실제 임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유용한 술식을 ③Part에 걸쳐 보여드리고자 한다.

Part ① 임플란트지지 보철물을 위한 진단 및 치료계획
Part ② 발치 및 임플란트 식립시기 결정,임플란트 식립 및 Sinus graft(GBR)
Part ③ 임플란트 2차 수술,인상 및 악간관계 채득,보철물 장착 및 교합조정

2. 본론

그림 2 (A) 두바이 브르즈할리파,잠실 롯데타워,싱가폴의 마리나베이샌즈 빌딩
그림 2 (A) 두바이 브르즈할리파,잠실 롯데타워,싱가폴의 마리나베이샌즈 빌딩
(B) 건축물의 설계 시공은 보철물을 위한 임프란트 식립과 같은 개념을 보여줌
(B) 건축물의 설계 시공은 보철물을 위한 임프란트 식립과 같은 개념을 보여줌

 

치과보철물은 저작 및 발음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이 완성된 Build ing 이나 Bridge 형태인 최종보철물이 결정된 후에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치조골 (지반형성) 보존, 임플란트의 식립수술, 보철수복은 Top-Down concept에 의해서 전체 치료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1.진단을 위한 준비(1st visit of patients)
진단을 위해 (그림 3)과 같이 Oral Examin ation & History taking, 구내사진,방사선사진(Panorama, PA, CBCT) 등이 이용된다.

 

2. 전반적인 진단구강 및 전신건강)및 치료의 목표 결정
환자의 결손부위 및 저하된 기능과 전신건강에 대한 평가를 한 후 구강기능회복을 위한 치료의 최종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복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최근 성인 환자들은 고혈압및 심장질환, 신장질환,골당공증 등 2, 3가지의 전신 질환으로 약을 복용하는 사람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이러한 경우 전신질환의 주치의 소견을 참조하여 발치 및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다수의 성인환자의 경우 발치나 임플란트 수술전 처치 혹은 premedication 및 약물투여 중지기간 등을 고려해서 진료 일정을 조정해야 한다.

3. 치료의 최종목표에 따른 치료 방법 선택
1)무치악 환자의 치료계획
무치악 환자의 보철수복 방법은 (그림 4)와 같이 complete denture, Implant suppor ted full arch bridge, implant overdenture, Implant assisted RPD, implant supported bridge 등으로 나눌 수 있겠다. 그 환자의 건강상태 및 경제적 부담능력에 따라 환자에 맞는 최종 치료목표가 결정되고 상황에 맞는 치료계획 수립되어져야 한다.
 

 

글_신상완 교수
신상완 치과(임상치의학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