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2 재건치과학의 임상증례

1. 서론
이전 편에서는 치아뿐만 아니라 치아를 지지해주는 치조골과 치은을 포함하는 경조직 및 연조직을 같이 재건하여 구강기능 및 환경을 개선하는 치과학의 개념을 재건치과보철학이라고 언급하였다.

본 편에서는 실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 임상증례를 중심으로 임상 Phase I(치조재 보존 혹은 재건), Phase II(Fixture 식립), Phase III(보철수복) 이러한 개념을 기초로 한 응용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2. 본론 - 재건치과보철 임상증례
좌우측 구치부위의 치아 동요 및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68세 남자 환자의 실제 임상증례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1. 진단
하악우측 제1대구치 심한 치조골 흡수를 병행한 치근주위 육아종 및 염증 하악 우측 제2대구 결손(그림 1)

2. 치료계획
1) 하악 우측 제1대구치부위의 염증반응이 심하여 치아발거 및 치성 육아종 제거하고, 2) 치아 발거 4주 후 골이식을 통한 치조골보존술 시행
3) 치조골의 치유기간(약 3-4개월) 기다린 후 하악 우측 제1, 2대구치 부위 임플란트 식립 4) 임플란트 식립 후 2-3개월 후 2-unit PFM spinted crown에 의한 보철수복

3. 시술과정
1)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발거 및 치성육아종 제거 후 항생제 및 소염 진통제 5일 처방 2) 시술부위 약 4주 후 골이식(Osteon III, Collagen membrane)을 통 한 치조골보존술을 시행하였으며 항생제 및 소엽 진통제 7일 처방

3) 치조재 보존술 후 약 4개월에 Delayed site implant placement 하기로 결정하였다. 하악 우측 제1, 2대구치 부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이드 드릴링 시 제2 대구치 부위의 골이식 부위의 골질이 약하여 #47 부위의 후방의 matured site의 기존골을 이용하기 위하여 임플란트(Superline, Denti um)의 식립각도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식립 하였음(그림 3)

4) 임플란트 식립 3개월 후 Fixture level impression채득 후 custom ab utment를 이용한 2-U PFM Splinted crown에 의한 보철수복을 완성하였음(그림 4)

1. 진단.
상악 좌측 제1소구치 부위의 치아동요및 만성치주염, 제2 소구치 결손, 제 1, 2대구치의 만성복합치주염 및 치근단 병소를 동반한 치성상악동염(그림 5).
2. 치료계획
1) 상악 좌측 제1소구치, 제1,2대구치 발거와 동시에 제1,2대구치 부위 Ridge preservation을 위한 GBR
2) 4개월 후 상악 좌측 소구치 구치부 Delayed site impalnt placement 제1소구치 부위 임플란트 식립,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부위 sinus graft와 임플란트 식립
3) 6개월 후 상악 좌측(제1, 2소구치, 제2대구치) custom abutment와 4-unit PFM bridge에 의한 보철수복

3. 시술과정
1) 상악 좌측 제1소구치, 제1,2대구치 발거 및 제1,2대구치 부위 치아 발거 후 CollaOss Plug(Collagenated Bovine bone)과 Teruplug(Collagen)을 이용한 Ridge preservation을 위한 GBR을 시행(그림 6)
 

2) 4개월 후 상악 좌측 제1, 2소구치, 제2대구치 부위 임플란트(Superline, Dentium) 식립 및 제2 대구치 부위 sinus graft(Osteon III) 제1대구치 부위는 잔 존골의 부족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지 않았으며, 제2대구치 부위는 sinus의 septum 부위에서 고정력을 얻기 위해서 경사지게 임플란트를 식립(그림 7)

3) 6개월 후 상악 좌측(제1소구치 - 제2대구치) custom abutment와 4-unit PFM bridge에 의한 보철수복 (그림 8)

맺음말
재건치과보철학이란 오래되어 부러지고 흔들리는 치아및 보철물들 을 전반적으로 재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세운 후 1) 발치 또는 치근주위 병소를 제거한 후에 치조골 보존술 혹은 재건술을 통한 기초 공사를 하고, 2) 골의 치유및 신생골 형성기간을 가진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3) 맞춤형 지대주 등을 이용한 새로운 보철물을 제작해주어 환자가 건강하게 저작 및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강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라 고 하겠다.
본 임상증례를 통하여 치과의사 또한 일종의 구강분야의 건축학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숙지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신상완 교수
신상완 치과(임상치의학연구소)
고려대 명예교수
www.sswdent.com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