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관절과 넙다리의 근육

치과계에서는 안면, 저작근, 경부근육, 가슴근육과 연관된 근육골격에 대한 질환이 서로 연관지어서 발생되고 있지만 명확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근육근막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 수술적인 요법과 더불어 근골격계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근막이완요법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육근막이완치료법은 진료실에서 손쉽게 접근 가능하고 환자와 치과의사 모두에게 동통을 감소시키고 치료할 수 있는 자가치료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총 12회에 걸쳐 연재되는 내용은 안면, 저작근, 경부근육, 경추, 흉추를 중심으로 한 연관된 근육근막에 대해서 서술하고 부가적으로 어깨, 가슴, 척추, 손, 팔, 허리 등과 연관된 근육근막에 대해서도 설명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지난 호에 이어 ▶

 

12. 엉덩관절과 넙다리의 근육(Muscles of the hip and thigh)

다양할 수 있지만 근막의 연관통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척추 주변의 근육의 연결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이 엉덩관절과 넙다리까지 동통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엉덩관절에서의 넙다리 또는 골반의 움직임이나 무릎관절에서의 종아리 또는 넙다리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큰허리근(psoas major)은 허리척추관절들을 가로지르고 있어 척추를 움직일 수 있다. 경추, 흉추, 요추 등과 연관해서 엉덩관절과 넙다리 근육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번 칼럼에서 소개하고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고려하고자 내용을 준비했다.

 

(1) 근막이완이란 무엇인가?

근막유착으로 인해 생기는 결림이나 통증, 이러한 신체의 불균형을 없애는 것이 ‘근막이완’으로 언급해 왔다.

유착된 근막을 풀어주어 원래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말하는데 근막에 유착이 생겨서 통증을 느끼게 되면 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부위에 부담이 가게 되고 그리하여 또 다른 근막에 유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통증뿐만 아니라 신체의 변형, 운동 기능 저하, 변비 및 소화 불량과 같은 내장 기능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근막이완은 다양한 마시지와 발통점 주사, 스트레칭 운동, 길항근 운동 등이 있을 수 있다.

▲ Figure 12-1. 앉아서 생활하는 사무직이나 치과의료인의 경우에는 엉덩관절과 넙다리의 문제가 앉는 구부정한 자세와 척추의 비틀림 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척추근육과 허리, 엉덩이를 이어주는 근육스트레칭 운동이 연관통의 유발을 감소시켜주면 등근육의 활성을 이루어지게 한다. 앉은 자세에서 어깨, 척추, 허리 근육의 stretching을 위한 자세방법이다.

근막이완의 장점은 결립증상 완화, 각 부위 통증 완화, 혈액순환 개선,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으며 운동기능 향상, 노폐물 배출, 부기가 빠지며 내장기능과 유연성이 향상되는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근막 이완을 통해서 개선할 수 없는 것도 있다. 관절변형의 치료, 헤르니아(탈장)의 치료, 골절의 치료, 염좌의 치료는 할 수가 없다. 이러한 질환의 치료는 증상을 완화되나 결정적인 수술적 치료를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그래서 근막이완으로 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한 지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한지에 대한 진단은 무엇보다 중요하기도 하다.

 

(2) 근막이완 방법

먼저 손을 이용해서 근막을 이완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완시킬 부위에 손을 대고 여러 방향으로 피부를 밀어 준다. 근막이 이완되면 시원한 느낌의 기분 좋은 자극이 느껴진다.

피부를 밀 때는 손에 힘을 주지 말고 피부에 갖다 대기만 한다. 팔 전체를 이용해서 피부를 민다. 피부를 문지른다기보다 피부를 조금 당긴 후에 놓는 듯한 느낌으로 한다. 가급적 피부에 직접 손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피부를 밀게 되면 그 밑에 있는 근막이 함께 이완된다.

두 번째로는 몸을 구부려서 근막을 이완시킨다. 피부를 밀면서 천천히 몸을 구부리고 펴면서 근막을 이완시킨다. 몸을 한번 확 구부리지 않도록 하며 근막이 이완될 때 기분 좋은 자극을 느낌과 동시에 뭉침이나 통증이 완화되고 몸이 가벼워진다.

세 번째로는 근육에 힘을 주면서 간단한 운동을 통해서 근막을 이완시킨다. 힘을 주고 몸을 움직여서 유착된 근막을 이완시켜서 여러 가지 동작으로 근막을 이완시킬 수 있다.

앉아서 컴퓨터로 사무를 보고 있거나 진료를 앉아서 하는 경우에 는 머리 뒷 주변의 물체를 잡아 당길 수 있는 곳에서 앉은 자세에서 후방방향으로 손으로 잡아당기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 숙이면서 사무를 보거나 진료 시에 수축되어 있던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다.

결국 근막이완 방법은 마사지와 스트레칭 운동법, 발통점 부위의 급속한 이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물 요법 등이 주요하게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동시에 응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 Figure 12-2. 흉쇄유돌근의 예를 들어서 massage와 stretching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근육을 뜅귀는 A의 모습과 흉쇄유돌근의 근육 방향에 대한 stretching모습을 보이고 있다. 근육의 주행방향과 수직인 방향과 주행방향으로는 마사지와 근이완 운동을 통해서 근막에 있는 혈액순환을 활성화할 수 있다.

(3) 엉덩이

골반 뼈와 대퇴골이 엉덩이 부위의 골격구조를 이룬다.

대퇴골두(femoral head)가 골반 소켓인 비구와(acetabular fossa, 절구오목)에 끼워져 고관절을 형성한다. 엉덩이 또는 둔부 부위에서 느끼는 통증은 흔히 형편없는 엉덩이 유연성과 연관이 있다.

이는 가파른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따라 혹은 심지어 비스듬히 기운 표면에서 달리거나 하이킹을 한 후 특히 그렇다. 활동하고 하루나 이틀 후에 나타나는 엉덩이 통증은 엉덩이 외회전근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데 기인하고 근육과 근육 안 및 주위의 결합조직에 가해진 손상에 의해 유발된다.

 

1) 골반과 넙다리 근육: 볼기근 군

큰볼기근(Gluteus maximus),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 작은볼기근(Gluteus minimus)

볼기근 군은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의 세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큰볼기근은 인체에서 가장 넓은 근육이며 엉덩이의 윤곽을 형성한다. 표층에 있으며 중간볼기근의 많은 부분을 덮고 있다.

중간볼기근은 뒤쪽으로 큰볼기근아래, 그리고 얖쪽으로 넙다리근 막긴장근 심부에 위치하지만 가쪽으로 표층에 있다.

작은볼기근의 대부분은 심부에 존재하고 있고 궁둥엉덩근에 붙어 있다. 넙다리뼈의 큰돌기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큰볼기근을 스피드스케이터 근육(Speed skater’s muscle)이라고 한다. 큰볼기근은 엉덩관절에서 넙다리를 펴고 벌리며 가쪽으로 돌리는데 강력하게 작용하며 이 모든 작용들은 스피드 스케이팅을 할 때 필요하다. 중간볼기근이 팽팽하면 그 쪽 부위에서 넙다리를 향하여 골판이 당겨지고 내려가게 한다.

보행이나 강한 운동 시에 발생되는 근막동통의 경우에 발생되는 근수축으로 인한 다리의 짧은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골반이 내려앉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이러한 증상은 척추의 기울어짐을 유발하게 되는 일종의 연속적인 악순환을 유발하게 된다.

▲ Figure 12-3. 골반과 넙다리 근육. 중간볼기근과 큰볼기근을 유심해 볼 필요가 있다. 고관절과 연결되어 있는 골반과 넙다리 근육간의 관계를 파악해서 엉덩이 근처와 척추 근처에서 발생되는 동통을 이해할 수 있다.
▲ Figure 12-4. 척추와 골반근육, 넙다리의 스트레칭 운동을 보여 주고 있다. A. 계단에 한쪽 다리 올리고 뒷짐을 짓어서 후방으로 올리는 운동 모습

2) 골반과 넙다리의 근육: 깊은 가쪽돌림근 군

궁둥구멍근(Piriformis), 위쌍둥이근(superior Gemellus), 속폐쇄근 (Obturator internus), 아래쌍이근(Inferior gemellus), 바깥폐쇄근(Obturator externus), 넙다리네모근(Quzdratus femoris)

궁둥구멍근(Piriformis, 이상근)을 신장시키기 위한 가장 흔한 방법은 대상자의 발을 검사대위에 놓은 자세에서 똑바로 눕게 하는 것이다. 궁둥구멍근이 압박을 받게 되었을 때, 궁둥구멍근과 궁둥신경간의 관계에 상관없이 궁둥구멍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 이상근 증후군)이라고 부르며 엉덩뼈신경통의 증상이 될 수 있다.

궁둥구멍근은 심부 근육으로 자극주는데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스트레칭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으로 양쪽 다리의 발바닥을 마주보게 해서 스트레칭을 하거나 누워서 좌우로 다리를 스트레칭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대게 이상근은 아래로는 허리와 엉치에서 분지해 내려와 하지의 움직임과 감각에 관여하는 엉덩신경이 종주하고 있는데, 궁둥구멍근인 이상근이 단축되거나 특정원인에 의하여 구축이 나타나게 되면 그 아래의 좌골신경을 누르게 되므로 일반적인 좌골신경통의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 것이다.

▲ Figure 12-5. 앉을 때 주로 동통이 심해지고 여성이 최대 6배가량 동통이 발생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주로 궁둥구멍근 이상근이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 Figure 12-6. 자가 스트레칭 방법으로 기존의 운동요법 중에 이상근 증후근을 개선시키는 방법이다. 이상근 증후근은 허리나 척추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질환이다.

지금까지 근막증후군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동통들에 대해서 언급하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광범위한 부분을 기술하다 보니 생략된 부분도 있고 저자의 오류에 의해 잘못 기술된 부분들도 있다. 이에 대한 모든 책임은 저자에게 있다라는 사실을 밝힌다.

향후 기회가 되면 더욱 자세하고 다양한 근육운동과 스트레칭 및 마사지를 통한 치료 방법과 약물주사요법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목차
1. 근막성 신체의 해부학(Anatomy of the fascial body)
2. 근막성 조직의 생리(Physiology of fascial tissues)
3. 근막과 연관된 질환(Fascia-related disorders)
4. 근막 탄력성에 대한 진단과정(Diagnostic procedures for facial elasticity)
5. 발동점과 발통점 형성(Trigger points and Trigger point formation)
6. 근막 지향적 치료들 I (Facia-oriented therapies I): 근막도수치료(facial manipulation)
7. 근막 지향적 치료들 II (Facia-oriented therapies II): 신경치료(Neural therapy)
8. 근막 지향적 치료들 III (Facia-oriented therapies III): 스트레칭과 근막
9. 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Muscles of the face, head and neck) I
10. 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Muscles of the face, head and neck) II
11. 어깨와 상지의 근육들(Muscles of the Shoulder and upper arm)
12. 엉덩관절과 넙다리의 근육(Muscles of the hip and thigh)

 

권경환 교수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수련
-전남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 외과학교실 박사학위 취득
-Texas Baylor 치대 구강악안면외과 교환교수(rhBMP-2 연구)
-16대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주임교수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위원(치과대표)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치과분야 중재위원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보험이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홍보이사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