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 II

치과계에서는 안면, 저작근, 경부근육, 가슴근육과 연관된 근육골격에 대한 질환이 서로 연관지어서 발생되고 있지만 명확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근육근막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 수술적인 요법과 더불어 근골격계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근막이완요법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육근막이완치료법은 진료실에서 손쉽게 접근 가능하고 환자와 치과의사 모두에게 동통을 감소시키고 치료할 수 있는 자가치료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총 12회에 걸쳐 연재되는 내용은 안면, 저작근, 경부근육, 경추, 흉추를 중심으로 한 연관된 근육근막에 대해서 서술하고 부가적으로 어깨, 가슴, 척추, 손, 팔, 허리 등과 연관된 근육근막에 대해서도 설명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지난 호에 이어 ▶

 

10. 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Muscles of the face, head and neck) II.

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에 동반된 근육의 전반적인 trigger point를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이에 대한 streching과 massage를 통하여 동통을 해소하는 방법과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지난 호에서 턱관과 귀통증, 두통을 동반하는 tension headach, 후두와 뒷목 근처의 긴장으로 인한 두통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다양한 streching 방법이 있고 이러한 스트레칭에 대한 운동처방은 해부학 적은 지속과 함께 근육의 방향과 골격의 운동방향에 대한 길항적인 방향성을 인지한다면 더욱 효율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근육 내의 되먹이 과정 중에 발생되는 지속적인 허혈성 근막 수축은 serotinin, prostaglandin과 같은 염증 단백질의 분비를 촉진하게 되며 이러한 분비된 단백질은 말초 neuron의 지속적인 회피과정을 촉진하게 되며 촉진된 근육수축기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면서 혈관 수축과 혈관내의 염증단백질 지속 분비가 되먹이 형태로 지속되게 한다.

이에 근육 수축과 근막수축을 막아 줄 botulinum toxin의 주사주입의 경우 말초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티콜린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하여 근육과 근막 수축기작을 이완되게 수축된 혈관분비의 활성화를 통해서 분비된 염증단백질의 흡수 기작을 일으키게 된다.

botulinum toxin의 근막, 근육주사는 염증성 증상을 완화하고 근수축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익히 알려져 있고 이에 대한 기작을 Figure 10-1에 도표로 보이고 있다.

▲ Figure 10-1. Loop2와 Loop1과정을 통해서 근막수축과 근육 수축작용이 지속적인 허혈 염증과정을 일으키는 기작과 보톨리늄 톡신을 통한 되먹이과정의 변화를 일으키는 기작을 설명하고 있다.

 

1) 눈 주위 통증-눈둘레근(안륜근 orbicularis oculi)에 발생

두통, 편두통, 삼차신경통, 눈의 피로, 눈의 경련, 낮아진 시력, 늘어진 눈꺼풀, 동통증 굴통(sinus pain), 눈썹 통증, 눈 건조등에서 발생되며 눈 주위의 통증은 안륜근의 근막수축으로 인한 통증이다.

기본적인 원인은 시력문제, 찡그린 얼굴, 긴장, 컴퓨터 스크린의 과도한 사용등이 원인으로 판단되며 안륜근 이외에도 측두근, 등세모근(trapezius), 뒤쪽목근(후경근, post cervical muscles), 흉쇄유돌근(ster nocleidomastoid muscles)과 조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안륜근 근처의 동통이 있는 경우 두통과 연관해서 치료를 하며 이 부분의 통증은 매우 타는 듯한 통증으로 좋지 않은 경우에는 눈주변의 근육보다는 안구나 뇌와 관련된 질환의 유무도 진단에 고려를 해 보아야 한다. 통증시 호흡과 이완을 하고 이완할 수 있도록 집중하게 한다.

대부분 컴퓨터와 관련된 눈의 피로와 부비강통증, 전두엽 두통에 효과적인 방법을 Figure 10-2 B에 소개하고 있다.

압박과 스트레칭으로 통한 치료- 먼저 발통점을 확인하고 발통 점 부위의 근육들이 완전히 신장될 수 있도록 환자를 편안하게 위치시키고 발통점이 있는 근육을 최대한 신장시킨 상태에서 발통점을 부드럽게 압박하며 점진적으로 압박력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 환자는 통증이 아니라 약간의 불편함 정도로 느껴야 한다.

발통점이 다소 부드럽게 느껴질 때까지 압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몇 초에서 몇 분 가 량 소요될 수 있다. 압박을 반복하는 동안 압박 방향을 바꾸어서 시행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Figure 10-2. A. 눈주위 통증을 일으키는 trigger point를 표시한 것으로 인접의 안면근과 연관되어 있으면 특히 zygomatico major, minor에 연관통이 눈 주위로 전이되는 경우도 있다.B. 보통 눈썹 가장자리 밑에 발통점이 존재하고 통증을 느낄 때가지 허혈적 압박 테크닉을 엄지를 이용하여 압박한다. 모든 압통이 사라질때까지 발통점 주위를 압박을 하게 되고 압박의 강도는 약간의 불편감을 느낄 때까지 진행한다.

 

2) 4대 저작근에 발생한 동통

치과의원이나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분들이 주로 호소하는 부위이지만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흔하다.

껌 씹기, 이갈이, 장기적인 치과치료, 스트레스, 정서적 긴장,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 손통 뜯기, 엄지 빨기, 맞지 않은 베개 등을 쓰고 있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동통이 4대 저작근에서 발생하게 된다.

먼저 자세의 교정이 필요하고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Figure 10-3에서 Figure 10-5에 이르는 스트레칭을 정규적으로 자가치료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저작근은 두힘살근(이복근, Digastric), 등 세모근(승모근, trapezius), 널판근(판상근, Spleneii), 뒤쪽목근(후경근 post cervical muscles),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와 조합하여 동통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 Figure 10-3. 주로 발생되는 Trapezius muscles, rhomboid major, minor의 근육, Splenius계열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동작으로 평상시 컴퓨터 타자나 공부로 인한 집중으로 수축이 일어나는 부위의 허혈성 통증을 감소시키는 이완스트레칭 운동법이다.
▲ Figure 10-4. Supraspinatus 가시위근, Trapezius 등세모근 등에서 발생되는 통증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Figure 10-5. Sternocleidomastoid muscle, Trapezius muscle, Splenius계열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동작으로 4대 저작근과 연관된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스트레칭을 통해서 저작근과 연관된 근육의 이완이 저작근에서 발생되는 동통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교근의 근육결은 광대뼈에서 아래턱으로 비스듬하게 흐르고 있으며 손끝으로 아래턱 부근을 촉진하면 쉽게 만질 수 있다.

이러한 교근 주변의 trigger point는 이갈이나 질긴 음식물을 섭취해 발생할 수 있으며 측두근과 combination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근막 동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동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완스트레칭 방법으로는 하악운동을 protrusive movement를 하면서 정중앙부를 살피면서 최대 개구를 시행하는 것을 반복해서 훈련하게 되면 교근과 측두근에서 발생한 통증을 감소시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익돌근은 교근보다 더 깊은 곳에 자리한 근육이다. 외익돌근과 내익돌근으로 나뉘며 외익돌근은 관절과 관절원판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관절염이나 관절내장증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지만 주변 근육인 내익돌근과 교근, 측두근의 혼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교근과 측두근을 열심히 마사지해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론 인접근을 풀어주면 통증해소에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속근의 경우에는 스트레칭이 동통을 풀어주는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 Figure 10-6. Masseteric muscle과 temporal muscle은 근막동통이 바로 연접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에 대한 근막이완 스트레칭은 하악운동 중 protrusive movement후 최대 개구작용을 정중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근막수축이나 trigger point에서의 통증이 감소하게 된다.
▲ Figure 10-7. 익돌근은 내익돌근과 외익돌근으로 나뉘어지며 외익돌근은 관절과 관절원판에 주로 분포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접근이 보툴리늄 주사나 스트레칭인 protrusive movement의 하악 운동으로 이완을 촉진시킬수 있다.

다음 호에 계속 ▶

 

 

목차
1. 근막성 신체의 해부학(Anatomy of the fascial body)
2. 근막성 조직의 생리(Physiology of fascial tissues)
3. 근막과 연관된 질환(Fascia-related disorders)
4. 근막 탄력성에 대한 진단과정(Diagnostic procedures for facial elasticity)
5. 발동점과 발통점 형성(Trigger points and Trigger point formation)
6. 근막 지향적 치료들 I (Facia-oriented therapies I): 근막도수치료(facial manipulation)
7. 근막 지향적 치료들 II (Facia-oriented therapies II): 신경치료(Neural therapy)
8. 근막 지향적 치료들 III (Facia-oriented therapies III): 스트레칭과 근막
9. 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Muscles of the face, head and neck) I
10. 얼굴, 고개 그리고 목 근육(Muscles of the face, head and neck) II
11. 어깨와 상지의 근육들(Muscles of the Shoulder and upper arm)
12. 엉덩관절과 넙다리의 근육(Muscles of the hip and thigh)

 

 

권경환 교수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수련
-전남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 외과학교실 박사학위 취득
-Texas Baylor 치대 구강악안면외과 교환교수(rhBMP-2 연구)
-16대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 주임교수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위원(치과대표)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치과분야 중재위원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보험이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홍보이사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