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뼈 생물학의 핵심

본지는 지난호부터 12회에 걸쳐 권경환 교수의 임상원고를 게재하려고 한다. 임플란트식립과 악교정 및 안면성형수술을 하면서 치과임상에서 뼈의 중요성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임상적인 입장에서 뼈 생물학을 다시 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또한, 뼈의 구조와 뼈의 세포학적인 내용과 뼈 성장인자에 대한 내용 등을 함께 정리하는 기회로 마련코자 한다. (편집자주)

 

 

7.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Jaws - 2
 
 
 지난호에 이어 ▶ 
 
▲ Figure 7-1(3): 안모사진으로 환자의 좌측 하악체 주변의 부종과 함께 동통을 호소하고 있다. 손으로 촉진시에는 단단한 골조직이 부어있고 압력을 가할 경우 동통을 호소하고 있다. 약물성 턱골괴사증의 발생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성 약물과 골다공증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스포스토네이트성 약물을 동시 복용하는 경우에 두배이상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Figure 7-1(4): #37하방의 골체부와 골수에 나타나는 방사선불투과성 양상은 턱골괴사양태를 나내는 전형적인 모습으로 cone beam CT를 통해 관찰이 가능하다. Cone Beam CT findings: increased bone density extended to the basal bone (diffuse osteosclerosis), with or without the following signs: prominence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periosteal reaction

 

▲ Figure 7-1(5): #37발거한 부위에 염증성 조직이 가득채워져 있는 상태였으며 #36 implant까지 퍼져 있는 상태여서 explantation을 시행하였음.

 

▲ Figure 7-1(6): 골수부위까지 염증성 조직을 제거하고 난 다음 inferior alveolar canal이 노출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변 경화된 골조직에 골천공을 시켜서 혈관화를 유도하였다.

 

4년 이상의 내복용 비스포스포네이트나 지속적인 약물 투여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 증상은 발현되지 않았지만 MRONJ의 발생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지시사항을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다. 
매번 내원시 구강 위생 지시 및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구강검진을 하며 모든 징후와 증상을 신속하게 보고 하도록 환자에게 지시하고 정보에 입각 한 동의를 얻도록 한다. 치료 중 및 치료 후 골조직 수술을 피하도록 지시하고 주기적인 임상 방사선 추적 관찰한다. 일반적인 환자의 주기적 추적관찰은 3개월 한번씩 내원하여 환자의 위험 인자 및 구강 건강 상태 점검에 근거하여 방사선사진 촬영과 진단에 따라 치료형태를 바꾸어 한다. 의료와 관련된 치료종결 후 적어도 5 년 동안은 계속해야한다. 뼈와 관련된 모든 수술을 시작하기 전에 환자에게 MRONJ의 잠재적 위험에 대해 통보해야 한다. dentoalveolar 수술을 필요로 하는 치과소수술의 경우에는 치과 감염을 예방하려면 구강 위생이 필수적이다. 
실제로, 뼈 손상과 관련된 모든 침습적인 절차는 피해야 한다. 복원 불가능한 치아는 치관을 제거하고 나머지 뿌리의 근관 치료로 치료해야한다. 치과 임플란트 배치는 피해야 한다.

 

▲ Figur 7-2(1): #47 explantation을 시행한 환자로 고지혈증과 혈압조절을 위한 Statin과 베타 Blocker를 함유하는 약물을 4년이상 복용하였다. Explantation후에도 지속적인 동통과 약물 투여시에도 동통이 사라지지 않는다.
▲ Figure7-2(2). #47 explantaion후 4주이상이 지나서 잇몸에 대한 치유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이나 임상적으로 동통과 부종이 있으며 골수내부에서 올라오는 농양이 존재하고 있다.
▲ Figure7-2(3) #47주변의 잇몸을 개방하였을 때 골수내부에서 농양이 배출되는 모습
▲ Figure 7-2(4). 골괴사증상을 보이는 granulation tissue제거하고 골경화된 지역과 골수 지역에서 혈관화가 교통될수 있도록 골천공을 하였으며 협측에서 설측방향으로 골천공구가 개통될수 있도록 깊숙하게 골천공을 하였다.

 

▲ Figure 7-2(5). rhBMP-2 LAF collagen을 이용하여 골괴사증 부위의 골재생을 돕고 있다.

 

▲ Figure7-3(6). 술전 방사선사진과 수술 직후의 방사선사진의 비교.

 

다음 호에 계속 ▶ 

키워드
#N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