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희 교수, 청소년기 턱관절장애 치료 ‘외상과 심리적 요인’ 관계성 밝혀

외상과 심리적 상태 약화가 초기 청소년 턱관절장애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연희(경희대치과병원구강내과) 교수<사진>는 국제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19년 12월호에 이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 턱관절장애 환자에서 외상 관련 통증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논문 주제로 대조군을 청소년기 초기(12~16세)와 후기(17~19세)로 구분한 후, 안면부에 가해진 거대외상에 대한 영향과 심리적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턱관절장애를 악화시킬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이 거대외상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거대외상을 가지고 있는 초기 청소년 그룹의 경우 심리적 평가점수와 함께 턱관절의 기능 장애지수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외상과 심리적 상태 약화가 초기 청소년 턱관절장애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연희 교수

이 교수는 “턱관절장애에 대한 연구는 연구 대상이 대부분 성인에 한정되고 있는 편”이라며 “이번 연구논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청소년기 턱관절장애는 성인에 비해 우울증, 학업성취도 저하, 안면비대칭, 소악증 등 영구적인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심리적요인을 고려한 턱관절 치료가 치료의 효과성을 높일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교수는 거대외상과 턱관절장애 간의 관계 규명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구강재건저널(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과 프런티어 인 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에 발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