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도덕적 갈등” 아홉 번째 시간이에요. 계속해서 가치갈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샘: 이걸 생각해보면 될 것 같아요. 우리가 지난번에 가치다원주의 이야기를 했잖아요? 

강: 예, 선생님! 

샘: 그게 사람들의 집단의 특성인데 그걸 개인의 내면세계의 특성으로 보면 어떻게 될까요? 

강: 아하, 그것 참 흥미로운 비유네요! 아니죠, 심리적 사실인가요? 

샘: 만약 그렇다면 매듭짓기의 가능성은 확 줄어들겠죠. 

강: 예, 당연히요. 한참 전에 논의한 인공정액주입술을 요청하는 레즈비언 사례처럼요. 의사 개인에게서 다양한 가치의 갈등이 일어나면 매듭짓기 어렵죠. 

샘: 병원에서 죽어가는 노인여성의 아들이 의사에게 약 처방을 좀 바꿔달라면서 편하게 돌아가시게 하겠다는 사례는 어떨까요? 

강: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제 연명의료법에서 명시하는 사전연명의료지시서나 연명의료계획서가 있으면 법적으로는 그나마 괜찮고요, 윤리적으로는 글쎄요. 아들이 나서도 의사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거나 하면 병원윤리위원회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샘: 환자의 자율성 존중, 환자의 이익 등을 고려했을 때 의사가 볼 때 임상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이 어렵고 그런 상태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 환자의 삶의 질 등을 생각할 때 환자 본인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면 행동은 그 판단에 따라서 하면 되겠죠? 의사 입장에서도요. 

강: 예, 선생님. 

샘: 가치갈등이 사람 사이에나 한 사람의 내면에서나 일어날 수 있고 그 때문에 의사결정은 어려운데요. 그럴 때에 도덕적 규칙을 적용하면 일이 쉽게 끝나지 않냐는 생각을 해볼 수 있어요. 어떤 병에 어떤 특효약이 있다는 식으로 말이죠. 

강: 예, 뭐, 만일 그런 도덕규칙이 있다면요. 

샘: 이제 내가 만난 어떤 의대생 이야기를 해볼게요. 학부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했는데요  임상현장에서 마주하는 도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의 알고리듬을 만들겠다는 야심을 품은 학생이었죠. 

강: 예, 선생님, 흐흐. 

샘: 일단 윤리적 의사결정이 어려웠던 문제들을 분석하고 도덕적으로 유의미한 고려사항을 평가하고 결정을 기록하고 그 결정에 따른 행동의 결과를 기록하고 이 모든 데이터를 컴퓨터 기억장치에 넣어야겠죠? 

강: 예, 하하. 유사한 사례가 많이 충분히 모여야겠네요. 

샘: 그러면 그것들 사이에 어떤 일반화된 원리가 추론되겠죠? 

강: 예. 일단 그렇게 하고 새로운 사례가 떠오르는 대로 이미 모여진 사례들과 비슷한가부터 따져보겠네요 병소를 진단할 때와 같이요? 

샘: 그 학생이 들으면 좀 기분이 나쁠 수도 있는데 이건 마치 옛날 전통사회의 동네유지의 우주시대 테크놀로지 버전이라고 할까요? 동네유지보다 몹시 제한적인? 

강: 근데 알고리듬이 실제로 있다면요. 인공정액주입술을 요청한 레즈비언의 사례의 경우, 비슷한 사례들과 관련 정보에 대한 최종 자료를 출력해서 나온 것을 ‘적절한’ 해결책이라고 보고 따르면 된다 이런 거네요? 

저작권자 © 덴탈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